Comments Off on 3분스피치_회사 세미나 강사 3분스피치(사유, 폭력)

3분스피치_회사 세미나 강사 3분스피치(사유, 폭력)

사유하지 않는 것은 폭력 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지배 이데올로기나 대중매체에서 떠드는 것 이상을 알기 어렵습니다.
알려는 노력, 세상에 대한 애정과 고뇌를 유보하는 그 순간부터 우리는 타인에게 상처를 주곤 합니다.
한나 아렌트가 말했듯이, 사유하지 않음, 이것이 바로 폭력이라는 것.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 상대가 친구일 수도 있고 이웃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도와주려는 자신의 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기분이 상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도움이라는 것의 의미는 주관적 판단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한 쪽에서 생각한 그 도움이 상대방에겐 도움이 아닌 경우가 생길 수 있지요.
또는 상대방이 고맙게 여기면서도 마음의 상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제 친구한테 들은 얘기가 있습니다.
옷 정리를 하다가 키가 커진 아들들이 입지 못하는 옷들을 모아 이웃집 사람에게 갖다 주었다고 합니다.
해진 옷도 아니고 다만 크기가 맞지 않아 버리기 아까운 옷이었으므로 당연히 받는 사람이 고마워할 줄 알았다는 게 그 친구의 말이었지요.
그런데 결과는 뜻밖이었습니다.
그 이웃 사람이 그 옷들을 받는 걸 거절하더라는 것입니다.
난 우리 애들한테 남이 입던 옷 안 입혀요.하는 냉정한 말로써 그 불쾌한 기분을 표현하는 것을 듣고는 그 친구는 멍해졌다고 합니다.
깜짝 놀랐지요.저도 우리 애들이 입지 못하는 것들을 추려서 이웃에게 갖다 주곤 했기 때문입니다.
어디 옷뿐이겠습니까.
우리 애들이 학년이 바뀌어 쓰지 못하는 동화책이나 참고서까지 갖다 주곤 하는데 말입니다.
혹시 제게서 받았던 그 사람도 어쩌면 언짢은 걸 억지로 참고 받은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스쳤습니다.
또 이런 얘기도 들었습니다.
한 친구가 어느 모임에 갔다가 모임이 파해 귀가할 때였습니다.
자신만 빼고 모두들 자동차가 있었는데, 그 중 한 사람이 차가 없는 자신을 위해 집까지 바래다주겠다고 말한 것입니다.
자기를 배려해 준 것은 고마운 일이었으나 그 말을 하는 바람에 다른 사람들까지 자신이 차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게 문제였지요.
그 친구는 차가 없는 자신의 처지가 자각되면서 창피하고 자존심이 상하더라는 것 이었습니다.
누군가를 배려해 줄 때는 꼭 그 사람의 처지에서 한 번 더 신중히 생각해 봐야 한다는 것은 우리 모두 기억해야 할 진리 입니다.
자신이 경험하지 않은 것을 잘 알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유하지 않음이 폭력이라는 한나 아렌트의 말을 인용하면서, 세상이나 또는 타인 을 알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우린 타인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
동의하십니까.
너와 내가 다른 부류의 사람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성차별을 비롯하여 장애인과 뷴애인, 백인과 흑인, 부자와 빈자 등 사람들 사이에 차별이 존재 합니다.
차별로 인해 상처가 생기는데, 그 차별이란 것도 결국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서 사유하지 않음으로써 생겨난 것이니 말입니다.
어쩌면 우리가 살면서 불쾌하거나 상처 받는 일은 거의 말에서 비롯되는 게 아닐까요.
무기로 사람을 해치는 것과 달라서 말은 가까이 있지 않아도 전해 듣는 사람에게 독기를 품어낼 수 있습니다.
가령 자신에 대해 누군가가 심하게 험담한 사실을 제삼자의 전화통화로 전해 받고선 괴로워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무기보다 말이 더 무서운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친절로써 한 선의의 말인데도 마치 험담처럼 상대방에게 마음의 병을 앓게 할 수 있음을 생각할 때 인간관계가 좋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새삼 깨닫게 됩니다.
우리 모두는 서로 같은 처지에 있어 보지 않은 각각의 타인들 입니다.
또 누구나 한 가지 이상의 열등감을 갖고 있기 쉽습니다.
그러므로 타인에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주의가 따르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우리 주위엔 결혼하지 않은 것에 열등감이 있는 사람도 있고 학벌 열등감이나 외모 열등감이 있는 사람도 있지요.
또 가난함에 열등감이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
특히 자신에게 열등감이 있는 부분에 대해선 타인이 무심코 던진 말도 민감하게 작용 합니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대학을 가지 못한 사람에게 어느 대학 졸업했냐고 물어 그 사람에게 상처를 줬다면 그것은 폭력이 될 수 있습니다.
사물을 보는 시각은 자신의 생활에 따라 각자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방송을 통해 내일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를 접한다면, 직장인은 내일 출근시 우산을 챙겨야 한다고 생각하고, 우산 장수는 내일 얼마나 우산이 팔릴지를 기대하며, 비가 새는 집에 사는 이는 내일지붕이 샐 것을 걱정할 것입니다.
지붕이 샐 것을 근심하는 가난한 사람에게 누군가가 비 오는 날의 낭만을 얘기하며 비가 많이 왔으면 좋겠다고 늘어놓는다면 그 말도 폭력이 될 수 있습니다.
타인을 알려고 노력하고 세상을 알려고 노력해야 하는 것은, 인간은 혼자 사는 게 아니라 타인과 더불어 살아야 하는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타인에 대해 사유를 게을리 함으로써 약점 있는 누군가에게 폭력을 행사한 게 되고 마는 현실이 안타깝기는 합니다.
열등감이란 것도 따지고 보면 우열을 가리는 우리 사회의 산물이니까.
그러나 어쩔 수 없이 우열을 가려야 하는 이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 우리가 타인을 위해 사유하는 일은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 사유로 인해 타인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 예전보다 줄어든다면 그것은 좋은 사회를 향해 한 걸음 나아가는 걸 의미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경청해 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2000년 00월 00일
회사 세미나 강사